zlib 처럼 그냥 압축풀고 대충 소스 껴넣고 실행하면 실행이 안된다.
( opensslconf.h.in 처럼 따로 스크립트를 처리해줄 수 있다면 사실상 컴파일까지는 필요없다. )
OpenSSL 압축을 풀면 INSTALL과 NOTES.WIN 라는 파일이 있으니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고하는 것이 좋다.
필자는 포터블성애자라 포터블 처리 기준으로 작성하였다.
[선행되어야할 준비물]
Visual Studio
OpenSSL ( https://www.openssl.org/ )
Perl ( https://www.perl.org/ )
( ActiveState Perl 이나 Strawberry Perl 이나 아무거나 상관없다. 참고로 필자는 Strawberry Perl 를 사용하였다. )
[절차]
1. OpenSSL, Perl 를 모두 압축을 풀어준다.
(두가지 다 바이너리로도 제공하고 있어서 따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2.
32bit 기준 x86 Native Tools Command Prompt for VS 20xx
64bit 기준 x64 Native Tools Command Prompt for VS 20xx
을 실행한다.
(보통 VS를 설치하면 시작 메뉴>Visual Studio 20xx 폴더 내에 존재한다.)
(20xx의 xx는 버전을 의미한다. Visual Studio 2007, 2010, 2012, 2015 등..)
3.
Perl은 Perl.exe가 있는 곳( (압축풀린 폴더)\Perl\bin\ )
위 경로를 환경변수에 등록해준다.
ex. $ set PATH=%PATH%;(Perl 경로);
※ Perl 도 위와 마찬가지로 32bit, 64bit 에 유의한다. 똑같이 맞춰주어야한다.
4. OpenSSL 가 풀린 경로로 이동한다.
ex. $ cd (OpenSSL 경로)
5. 컴파일 옵션은 아래와 같다.
VC-WIN32 no-asm : x86
VC-WIN64A-masm : x64
ex. $ perl Configure VC-WIN32 no-asm
ex. $ perl Configure VC-WIN64A-masm
(지원하는 어셈블리 옵션은 perl Configure 입력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
(그 외 컴파일 옵션은 INSTALL에서 확인 가능하다.)
※ VC-WIN32, VC-WIN64A 단일 옵션의 경우 NASM( https://www.nasm.us/ ) 을 별도로 다운로드 받아서 처리해줘야 한다.
6. 컴파일을 시작한다.
ex. $ nmake
7. 사용시 프로젝트 옵션에서
C/C++ > include 디렉토리
linker > library 디렉토리
두가지를 설정해서 사용하면 된다.
'기타 > 분류하기애매한무언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Firefox 에서 네트워크 탭 유지 ( 다중 프로세스 브라우저 디버깅 ) (0) | 2023.03.26 |
---|---|
AVIF 빌드 방법 (on windows, x64) (0) | 2022.03.27 |
open 핸들 관련 (0) | 2022.02.21 |
비디오 & 웹 하드웨어 가속 관련 링크 (0) | 2022.01.27 |
C# 문법 표준 및 구조 관련 (0) | 2021.05.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