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론 : 파일 디스크립터의 테이블 번호가 리턴값으로 넘어온다.
핸들링 번호 할당에 대해 찾아보다 마땅한 예제가 없어서 리눅스 소스에서 open 함수 뜯어보다
EXPORT_SYMBOL 에 막혀서 다르게 검색하다 떠올랐다 -_-;;;
너무 오래전에 슬쩍보고 넘어갔던거라 완전히 기억에서 제거됐었는데
찾아보다 아ㅏㅏㅏㅏㅏ!!!!!!!!!!!!!!!! (떠오름과 동시에 뒤통수 한대 후려맞은 감각)
일단, 포스팅으로 남겨놔야겠다.
https://en.wikipedia.org/wiki/File_descriptor
지금 개발중인 프로그램의 핸들링 넘버 관련은 그냥 기존 생각했던 방식대로
우선적으로 핸들을 관리하는 메모리를 할당하고, 핸들이 풀리고 다시 생성되는 과정은 스택으로 처리
메모리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재할당하는 방식을 취해야겠다.
추가로 리눅스 소스 다운로드는
https://mirrors.edge.kernel.org/pub/linux/kernel/
https://github.com/torvalds/linux
둘 중 택1 (똑같음)
'기타 > 분류하기애매한무언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AVIF 빌드 방법 (on windows, x64) (0) | 2022.03.27 |
---|---|
Visual Studio를 이용해서 OpenSSL 직접 컴파일하기 (0) | 2022.03.11 |
비디오 & 웹 하드웨어 가속 관련 링크 (0) | 2022.01.27 |
C# 문법 표준 및 구조 관련 (0) | 2021.05.16 |
DNS Record type list (0) | 2021.05.12 |
댓글